블로그

세키테이옹 등유비

1800년 3월에 키우치세키테이의 희수를 기념해 이시야마데라 참배길이 건립되었습니다. 세키테이는 여러 나라를 돌며 기석을 수집하고 연구한 민간 광물학자로 일본 고고학의 시조로 알려...

시마자키토손 시비

1893년, 22세의 토손은 자신의 연애를 고민하던 끝에 교직을 그만두고, 바쇼와 사이교의 유적을 좇아 간사이를 유랑했습니다. 같은 해 2월 초에 이시야마데라에 참배해 ‘햄릿’1권...

이치로보의 동탁

높이 90.9cm의 대형 가사 모양의 동탁으로, 약 2천 년 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에도시대 후기, 1806년에 절 주변의 논에서 출토되었는데 현재는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

이시야마 모우데

헤이안 시대의 많은 귀족들은 이시야마 참배를 했습니다. 그중에는 여류 작가도 많았는데 이시야마데라에 머물던 시간을 작품으로 이시야마를 무대로 많은 와카를 지었습니다. ‘...

산코노 마츠

다이도 원년 (808년), 당에서 수업을 마친 고보 대사는 귀국 즈음에 스승 케이카카쇼로부터 밀교 법구의 하나인 금강저(산코쇼)를 받습니다. 대사는 그 금강저에 소원을 담아 ...

니오이노 쇼교

이시야마데라의 사전에 ‘니오이노쇼교’로 기록된, 좌주 대대로 귀중하게 전해온 경권 군입니다. 제3대 좌주 슌뉴나이쿠 자필 성교로 국보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슌...

부츠묘에

과거, 현재, 미래를 아우르는 삼천불의 이름을 주창하고 오체투지를 행해 자신의 죄장을 참회하고 없애기 위한 법요입니다. 본래는, 새로 승려가 된 ‘신발의’ 를...

이시야마데라 창건 유래

사이코쿠(서국) 33 곳 관음 순례의 13번 찰소로 번성한 이시야마데라는 나라 시대 쇼무 천황 통치 때 창건되었다고 전해집니다. 어느 날, 쇼무 천황이 대불 건립을 고안해 승려 로...

겐지이야기와 무라사키 시키부

여류작가 무라사키 시키부는 일찍 어머니를 여의고, 문인이었던 아버지 후지와라노 타메토키 아래에서 자랐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한문 서적을 가까이해 훌륭한 소질을 보였다고 합니다. 조...

아쿠겐타의 숨겨진 계곡

미나모토노 요시토모의 장남 요시히라는 젊어서 용감함으로 이름을 날려 ‘아쿠겐타’로 불렸습니다. ‘악’은 강하다는 의미, ‘겐타...

아오오니 마츠리

이시야마데라 굴지의 학승 로초 율사가 남긴 덕을 기리는 제입니다. ‘학문의 절’로도 불리는 이시야마데라는 ‘이시야마데라 일절경’과 ...

센니치에(천일회)

이 날 하루 참배로 천일의 공덕을 얻는다는 날에 열리는 법요입니다. 이시야마데라에서는 관음보살의 신불 앞에서, 친히 좌주 아래 산 전체 승려가 출사해, 호국 영령의 명복을 빌며 만...

오쿠리비 법요

센니치에 및 오봉(추석)에 즈음해 선조의 영혼을 공양하고 배에 실어 보내드리는 법요입니다. 이시야마데라에서는 센니치에에서 사용하던 탑파를 초친(초롱)에서 떼어 내고 우란분 법요에서...

비샤몬에 법요

매년 8월 26일은 일 년에 한 번 있는 비샤몬텐 잿날입니다. 이시야마데라에서는 비샤몬 당의 본존인 토바츠비샤몬텐의 신불 앞에서 법요가 열려 지역 사람들이 참가합니다. 비사몬텐은 ...

슈게츠사이 ・ 무라사키시키부 법요

헤이안 시대부터 달구경의 명소로 알려진 이시야마데라는 무라사키 시키부가 머물며 호수에 빛나는 보름달을 바라보면서 ‘겐지 이야기’ 를 구상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

하츠우마 이나리 쇼코사이

하츠우마의 첫 제는 벼 신과 논 신을 신앙하는 이나리 신사의 축제입니다. 와도 4년(711년) 2월 첫 우마 (午) 날에 교토의 이나리야마에 후시미이나리타이샤의 제신인 우카노미타마...

고보 대사 정 존영 공양 법요

진언종의 개조 고보대사가 남긴 덕을 기리고 보은의 마음을 바치는 중요한 법요입니다. 본래는 대사가 입정한 3월 21일에 열리는데, 이시야마데라에서는 한 달 늦은 4월 21일에 열립...

이시야마 마츠리

이시야마제는 5월 5일에 열리는 삼십팔 곤겐샤의 대제입니다. 이시야마데라의 진수인 삼십팔 곤겐샤는 본당 동쪽의 관회석 위에 세워져 일본 고래의 신들과 함께 삼십팔 대 덴지 천황까지...

오하나 마츠리

석존의 탄생을 축하하는 제례로 ‘관불회’ 혹은 ‘강탄회’라고도 합니다. 본래는 석존 탄생일인 4월 8일에 열리는데, 이시야마데라에서는 한...

고오상(문전성시)

매월 18일은 관음보살의 잿날입니다. 이시야마데라 문 앞(몬젠) 경내에서는 ‘고오상’으로도 친숙한 관음 장이 열립니다. 명물 재첩국을 비롯해 회고품, 골동품,...

고보 대사 잿날 법요

진언종의 개조 고보 대사는 조와 2년(835년) 3월 21일에 입적하셨다고 합니다. 매월 21일은 그 달의 기일로 고보 대사 입정 잿날입니다. 이시야마데라에서는 미에이(존영)당에서...

부동 명왕 잿날 법요

부동 명왕은 교화하기 힘든 중생을 격노한 형상으로 불법을 인도하는 노여움의 부처입니다. 오른손의 보검으로 번뇌를 차단하고 왼손의 견삭은 길을 잃고 방황하는 사람을 막아주며 등 뒤의...

성제 대 기도회

일본에서는 예로부터 별을 보며 사람들이 자신의 운세를 점쳤습니다. 태어난 해의 정해진 별과 매년 순회하는 별과의 합으로 그 해의 길흉을 판단했습니다. 이시야마데라에서는 입춘 전날에...

이시야마데라 우메츠쿠시

매화 개화 시기에 열리는 이시야마데라의 우메 츠쿠시. 기간 중에 경내에 있는 3개의 매화원에서는 400 그루, 종류로 40종에 이르는 매화가 만발합니다. 또한 경내 각 곳에서는 제...

정월 법요 ・ 행사

이시야마데라의 제야의 종은 물이 가장 맑다고 여겨지는 오전 2시부터 타종을 시작합니다. 선착순 108명의 참배자가 타종할 수 있습니다. 중층으로 된 부채꼴(하카마고시) 종루는 상층...

관음 보살 잿날 법요

매월 18일은 관음보살의 잿날입니다. 이시야마데라에서는 본당에 안치된 본존 여의륜 관세음보살의 신불 앞에서 법요를 열어 지역 사람들이 참배해 순산과 복덕, 인연, 액막음 등의 공덕...

이시야마데라 (석산사)

대본산・이시야마데라 (석산사 (진언종))는, 이시야마데라 1쬬메의 가랑야마 (가람산) 기슭에 사역이 있다. 연기에는 텐표19년 (747), 쇼무천황의 명에의해 로우벤이 개창했다고 ...

육아 관음

육아에 고민하고있는 부모에 효험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대흑천

만쥬 원년(1024년)에, 본존은 스님 세명의 꿈속에 현몽하여, 세명의 스님의 꿈속에서 호수에 나타났다....

오오유야 (목욕탕)

대흑천당의 서쪽에 세워져있으며, 기리쯔마 즈쿠리(맞배집) 건축양식. 내부는 전실, 탈의장, 욕실의 3실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시야마데라(석산사)연대기록]에는, 현재의 건물인 욕...

로우쬬오율사 대덕 유귀경

이시야마데라(석산사)의 경전・성교의 수집・정비에 전력을 다한 학승 로우쬬 율사의 위업을 기리 기위한 정원으로, 1999년에 만들어 졌다. 로우쬬 율사는, 자기자신이 사후에는 귀신이...

가막조개 패총비

긴끼지방을 대표하는 죠우몽시대(기원전 만년-기원전 4세기) 초기의 유적 [이시야마 패총]을 기념하는 비. 이 패총 일대에서 주거 유적과 함께 인골・석기・골각기・죠우몽 토기가 출토 ...

광당

2009년, 이시야마가 발상지인 주식회사 토우레에 의해 헌납된 당우(규모가 큰 정당과 규모가 작은 옥우를 아울러 일컫는말) 이다. 14세기 카마쿠라시대에 존재했다고 하는 광당을 복...

무라사키시키부 상

이시야마데라에 참롱 했을때 겐지모노가다리(원씨이야기)의 착상을 했다고 하는 무라사키 시키부의 동상. 경내 깊숙이 펼쳐지는 겐지엔 (정원)의 일각에 있다....

서국33소 관음(석불) (후다라산)

관음보살의 주지인 후다라산(補陀落山) 이라고 쓰여있는 석비에서, 무우원을 따라 산길을 올라가면, 서국33소 후다쇼 관음영장의 관음상이 후다쇼(참배지)의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어, 편...

아까이야(우물)

본당 아래 남쪽 편에 있는 우물로, 본존의 어좌 아래에서 솟아오른 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본존에 바치는 물은 여기에서 떠 온다....

밀장원(시마자키 도오손 유래의 당)

메이지 26년 (1893), 시마자키 도오손은 20세 즈음, 이시야마 데라(석산사)의 문전에 있던 차죠우 밀장원에 약 2개월간 체재했다. 그때의 일을 [차죠우기]라고 제목 하여 잡...

무라사키시키부 공양탑 (삼중보협인탑)

경장 바로 옆에, 마쯔오 바쇼의 비석과 나란히 세워져 있으며, 무라사키 시키부의 공양탑 이라고 전하여 진다. 보협인탑의 갓을 삼중으로 한 진기한 층탑양식으로, 초중의 사면에 불상이...

바쇼의 구비(시비)

바쇼가 읊은 구 [아케보노와 마다 무라사키니 호토토기스]를 바쇼 스스로가 써 내린 바쇼 자아자찬구 (이시야마데라(석산사) 소장) 와 동내용의 글을 조각한, 높이1.7미터의원주. 다...

눈을 가리고 끌어안는 탑(보탑)

다보탑 서쪽에 서 있는, 높이3.4미터의 단순하고 소박한 석조 보탑. 14세기 카마쿠라 시대작 이라고 하며, 메가꾸시 이시 (눈을 가리고 탑을 끌어 안으면 소원 성취를 한다는 돌)...

바쇼암(차실)

바쇼앙은 월견정 바로 옆에 단층으로 지어진 차실이다. 1688-1704년, 겐쥬앙에 체재하고 있던 마쯔오 바쇼는 자주 이시야마데라(석산사)를 방문하여, 이곳에 머물렀다고 전하여 진...

심경당

가산 법황 서국33소 부흥 천년 기념행사로서, 1990년에 건립된 당우로, 다보탑 북동쪽의 조금 높은 장소에 위치하 고있다. 내부 중앙에는 여의륜 관세음보살과, 이시야마데라에 봉납...

신목(천구 삼나무)

이시야마데라의 신목 (신령이 강림하여 머물러 있다고 믿어지는 나무). 초창기의 잇폰스기(삼나무)....

관음당

본당 동쪽에, 비사문당 남쪽에 서쪽을 면하여 서 있는 관음당은, 이시야마데라(석산사)의 본존 여의륜 관음을 중심으로, 서국33소 관음영장의 관음이 모셔져 있다. 에도시대(17-19...

로우벤의 지팡이벚꽃

규회석 조금 앞의 오른쪽에 있는 천엽의 산벚꽃나무는, 로우벤 쯔에자쿠라 (로우벤의 지팡이 벚꽃)라고 불리우며, 로우벤 승정의 지팡이가 뿌리를 내려 성장한 나무라고 전하여 지고 있다...

안산(순산)을 기원하며 앉는돌

고상식으로 지어진 경장 일부는, 노출 된 규회석 위에 세워져 있는데, 이 경장 밑의 노출된 암반을 고시가께이시라고 부르며 , 이 돌위에 앉으면 안산(순산)할 수 있다고 전하여 진다...

삼중 보협인탑

경장 바로 옆에, 마쯔오 바쇼의 비석과 나란히 세워져 있으며, 무라사키 시키부의 공양탑 이라고 전하여 진다. 보협인탑의 갓을 삼중으로 한 진기한 층탑양식으로, 초중의 사면에 불상이...

금룡용왕사

대일여래의 화신, 이시야마데라(석산사)의 수호신이며 재난을 막아주고 복을 부르는 역할을 한다고 한다....

나스노요우이치의 지장존

본당으로 통하는 석단아래의 사당에 안치된 나스노 요우이치 지장은, 경내의 참배 길을 정비중에, 본당 정면아래 부근에서 발견되어, 현재의 장소에 모셔졌다. 헤이케이야기 (헤이케모노가...

용장관현사

본당으로 향하는 석단의 중간에 동쪽으로 면하여 세워진 용장관현사는 호지년간(1247년), 간진샤몬유우에몬이 재흥 하였는데, 그후 썩어 무너져, 쇼와 년간 (1764-1772)에 다...

이시야마데라(석산사) 종루

이시야마데라(석산사) 본당의 동쪽에 경장과 마주보듯이 지어진 종루는 이시야마데라 전기에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기부(기진)라고 전해지고 있는데, 1329-1331년경에 개축 되었다고...

이시야마데라(석산사) 다보탑

규회석 위에 우뚝 세워진 다보탑은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기부를 바쳐 세워졌으며 하층의 수미단상 마루귓틀 뒷면에 써있는 묵서에의해 1194년에 건립되었다는것을 알게 되었다. 건립연대...

미나모토노요리토모・가메야선니 공양탑

다보탑 북서쪽에 나란히 서 있는 2기의 보광인탑은, 오른쪽이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왼쪽이 가메야선니 여승의 공양탑이라고 전하여지고 있다. 가메야 선니는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둘째딸...

이시야마데라(석산사) 38소 권현사 본전

7세기 텐지천황까지의 역대천황의 영령을 모신 이시야마데라(석산사)의 진수사. 신사와 불전을 절충하여 지은 건축양식으로 지붕은 노송나무 껍질로 이은 히와다부키 지붕이며, 규회석위에 ...

이시야마데라(석산사) 경장

16세기경에 건립된 다까유카노 아제쿠라(교창식 건축 ) 일본 고대 건축양식 으로, 시가현에서 제일 오래된 교창식 건축이다. 본당의 북동쪽의 한층 높은곳에 위치하고 있다. 일찍이, ...

료우센 삼장비

료우센은, 오오미사카다의 출신이며, 당나라에서 불전의 번역일에 종사한 유일한 일본승이다. 이러한 일은 이시야마데라 (석산사) 일절경중의 [대승본생심지관경]권 제일의 권말에서 알 수...

텐지천황 석절장유적

본당 정면의 바로 아랫쪽에 있는 채석장지에는, 천연기념물 [규회석]이 길가에 노출되어 있으며, 15개소에 돌을 떠 내어 다듬은 흔적이 있다. 근년, 이곳에서 채석된 돌이, 아스까 ...

이시야마데라(석산사) 동대문

이시야마데라(석산사)의 정문이며, 세타 강변의 동쪽에 면하고 있다. 이시야마데라(석산사) 전기에 의하면 카마쿠라시대(14세기) 때에 건립되었다고 한다. 16-17세기(게이쬬기)에 ...

히라명신 영향석

절 지납소를 지나, 명왕원 앞에 위치한 히라명신 영향석(히라묘우진 요우고우이시)은로우벤 승정과 히라명신이 처음 만난 장소라고 한다. 이시야마데라 엔기 에마끼 (석산사 두루마리그림)...

이시야마데라(석산사) 월견정

고시라카와 상황이 밖으로 행차할 때 나들이를 위하여 지어졌 다고하며, 멀리 비와호수를 바라보면서 세타강의 아름다운 풍경을 즐길 수가 있다. 벼랑 끝에 지은 가께즈쿠리 건물로, 낭떠...

이시야마데라(석산사) 팔대용왕사

팔대용왕사는, 동대문에서 무우원을 지나 조금 더 깊숙히 들어간 장소에 위치하며, 용혈의 가운데 섬에 있다. 용혈이란, 불볕더위 속에서도 기우제를 지내면 반드시 비가내린 다는 연못으...

규회석

규회석은, 석탄암이 땅속에서 돌출한 화강암과 접촉해, 그 열작용으로 인하여 변질한 것인데,. 이시야마데라(석산사)와 같이 웅대한 규회석으로 되어 있는 곳은 대단히 희귀하 다고하여,...

이시야마데라 (석산사) 비사문당

본당의 동쪽, 관음당의 북쪽에 서향으로 세워진 비사문당은, 도파쯔 비사문천 (8-12세기 헤이안시대, 중요문화재)과 길상천과 선이사동자를 신으로 모신 삼문당이다. 실제로는 정방형의...

이시야마데라(석산사) 본당

시가현에서 제일 오래된 목조건축물로, 1096년 에이쬬 원년에 개축된 정당(내진)과, 1602년 게이쬬7년, 요도 도노의 기부(기진)로 인해 개축된 예당(외진)을 중간 건축물로 이...

겐지노마(원씨의방)

본당을 잇는 방의 동쪽 끝에 있는 두칸으로 이어진 방은, 무라사키 시키부가 참롱하여 머무르면서 겐지모노가다리(원씨이야기源氏物語)를 집필한 장소라고 전해지며, 겐지노마 (원씨의방)라...

이시야마데라(석산사) 어영당

진언종의 개조 홍법대사와 이시야마데라 (석산사) 제삼대 좌주 슌뉴나이쿠의 유영을 안치한 당이다. 단층으로 노송나무 껍질로 지붕을 이은 히와다부키 지붕이며, 내부는 무로마치시대 (1...

이시야마데라(석산사) 연여당

현재 렌뇨쇼닌을 신으로 모시고 있는 연여당은, 규회석의 벼랑끝에 지은 가께즈쿠리 건조물로 16-17세기 게이쬬기에 38소 관현사의 배전으로 건립되었는데, 신사 의식으로도 불교 의식...